반응형
css 표준 단위에 대하여 알아보기
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css에서 사용을 하는 표준 단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무래도 우리가 직접 쓰는 프로그래밍 언어이기 때문에 그 표준 단위를 모르고 쓸 수는 없어서
한 번 작성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css의 표준 단위
우리가 css로 스타일 시트를 작성을 하다 보면 사이즈를 적절한 비율로 조절을 하여 구성을 해야만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css로 만들어낸 것들이 다 뒤죽박죽이 되어버리고,
오히려 css로 인해서 엉망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위의 지정은 정말 중요하다고 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주로 많이 사용하는 css의 표준 단위를 표로 한 번 정리를 해봤습니다.
단위 | 의미 | 사용 예시 |
em | 배수 | font-size : 3em; // 현재 폰트의 3배 크기 |
% | 퍼센트 | font-size : 500%; // 현재 폰트의 500% 크기 |
px | 픽셀 수 | font-size : 10px; // 10픽셀의 크기의 폰트 |
cm | 센티미터 | margin-left : 5cm; // 왼쪽 여백 5cm |
mm | 밀리미터 | margin-left : 10mm; // 왼쪽 여백 10mm |
in | 인치(1in = 96px = 2.54cm) | margin-left : 2in; // 왼쪽 여백 2인치 |
pt | 포인터(1pt = 1in * 1/72) | margin-left : 20pt; // 왼쪽 여백 20포인트 |
pc | 피카소(picas), 1pc = 12pt | font-size : 1pc; // 1pc 크기의 폰트 |
deg | 각도 | transform : rotate(20deg); // 시계 방향으로 20도 회전 |
반응형
주로 이런 것들을 많이 씁니다.
그리고 주의를 해야 하는 사항 한 가지는, html에서는 단위를 반드시 표시를 해야만 합니다.
그래야만 컴퓨터가 어떤 사이즈를 지정을 할 것인가가 입력이 되고,
입력하지 않을 시에는 오류가 나므로 주의를 해야 합니다.
여기까지 css의 표준 단위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폰트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신 독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html, css, 자바스크립트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font 프로퍼티 이용하여 모든 프로퍼티 속성 한 번에 사용하기 (0) | 2023.03.18 |
---|---|
css 폰트 사용법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23.03.13 |
css 텍스트 프로퍼티로 텍스트 꾸미기 (0) | 2023.03.13 |
css 색 프로퍼티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23.03.13 |
css로 색 꾸미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23.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