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 구조체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기
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조체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c언어로 프로그램 다운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알아야 하는 최소한의 진도가 구조체까지입니다.
이전까지 배웠던 것들은 놀랍게도 진짜 기본 중에 기본이고,
이 구조체부터 제대로 된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초석이 될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부터는 진짜 본인이 개발을 한다는 생각으로 임해주시면 더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1. 구조체란?
우리가 배우는 c언어의 자료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기초 자료형 : int, char, float, double 등의 제일 기본이 되는 자료형
- 파생 자료형 : 배열, 포인터, 구조체, 공동체 등의 기초 자료형으로 하여금 파생되어 쓰이는 자료형
- 사용자 정의 자료형 : typedef, enum 등의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여 만드는 자료형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위 글에서 볼 수 있듯이, 구조체는 파생 자료형의 일종입니다.
1 - 1. 구조체의 기능
그래서 이 구조체라는 것이 어떤 기능을 할까요?
구조체는 여러 가지 자료형을 하나로 묶어서 선언을 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학생의 성적표를 나타낸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그러면 학생의 이름, 학번, 성적 등이 성적표에 들어가겠죠?
그러면 각각을 나타냈을 때 이런 식으로 표현이 됩니다.
int number; // 학번
char name[20] // 성명
double grade; // 학점
그런데 이렇게 나타내면 다 제각각 나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코드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래서 이럴 경우에 이를 하나로 묶어서 나타내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 구조체입니다.
이 구조체를 사용하면 이런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struct student
{
int number; // 학번
char name[20]; // 성명
double grade; // 학점
};
이렇게 struct라는 키워드를 이용해서 하나로 묶어서 표현이 가능합니다.
이러면 자료형이 중구난방으로 튀지 않으면서 한 번에 표현이 가능하니 코드가 간결해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기까지 구조체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구조체를 선언, 초기화 및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신 독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구조체의 활용 방법 알아보기 (0) | 2023.01.26 |
---|---|
c언어 구조체의 선언, 초기화, 멤버 참조, 이름 없는 구조체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23.01.15 |
c언어 문자와 문자열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 풀기(단어 세기, 영상 파일명 자동 생성하기, 한영사전 구현하기, 메시지 암호화 하기, 행맨 게임 만들기) (2) | 2023.01.09 |
c언어 문자열을 여러 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23.01.06 |
c언어 문자열을 수치로 변환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2.12.31 |
댓글